본문 바로가기

728x90

공부/환경

(9)
(강의 후기) k-mooc 숲으로 떠나는 건강여행 수강 후기 *k-mooc를 통해 신원섭 교수님의 이라는 수업을 들었다. 매주 과제를 했던 내용에 이 강좌의 핵심이 잘 드러나 있는 듯 하여, 수강후기를 과제 내용으로 대체한다. 1. 법정림 사상의 개념 및 지속가능한 발전개념과의 관계는 무엇인가. 법정림이란, 목재의 수확이 일정한 계획에 의해 통제되어 산림자원의 생산력이 보장된 산림을 말한다. 예를 들어, 하나의 산림을 30개의 구역으로 나누어, 매년 1개의 구역에 있는 나무만 벌채한 뒤 그 곳에는 다시 1년생 나무를 심는 행위를 반복한다고 하자. 그런 식으로 매년 1개의 구역씩만 벌채를 하여 목재를 생산한 뒤 30년이 지나면 처음 벌채를 했던 구역에는 다시 30년생 나무가 자라 있을 것이다. 한편, 지속가능한 발전이란, 탄소배출량을 최소화하고 자연생태계를 최대한 ..
(독후감) [그건 쓰레기가 아니라고요] (홍수열,슬로비,2020) 지금 우리는 어떤 사회에 살고 있을까. 이름붙이기 나름이겠지만, 나는 "쓰레기 사회"라고 생각한다. 물론 나 혼자만의 생각은 아니고, 실제로 많은 사람들이 그렇게 생각하고 있다. 지구 생태계에 있어, 인간만큼 나쁜 동물도 없다. 이 책의 표현을 빌리자면, "식충이" 같은 동물이라고 할 수 있다. 수많은 생물이 살아가는 바다를 플라스틱으로 오염시키고, 쓰레기장과 목장을 만든답시고 수많은 숲을 불태워 없애는 등 인간의 만행을 열거하자면 끝이 없다. 이대로 가다간 인간사회는 붕괴할 수 밖에 없다. 아니, 이미 인간사회는 붕괴해가고 있다. 의성의 쓰레기산을 보자. 미세플라스틱으로 이미 오염된 해산물들을 보자. 각종 화학물질로 오염된 우리 자신의 몸과 중금속 먼지로 가득한 하늘을 보자. 이미 인간사회는 위기 속에..
(독후감) [파란하늘, 빨간지구] (조천호, 2019) http://m.yes24.com/goods/detail/71034062 파란하늘 빨간지구 과학자의 자리에서인류의 미래를 고민하다이 책의 저자인 조천호는 국립기상과학원 초대 원장이다. 이 책의 ‘나오는 말_ 국가과학기술의 연구개발은 어떠해야 하는가?’에서 그� m.yes24.com 매주 쓰레기 버리는 날이 되면, 골목마다 잔뜩 쌓여있는 쓰레기 더미를 마주한다. 그 쓰레기들은 대체 어디로 가는걸까? 매립지로 가거나 소각장으로 간다. 쓰레기가 늘어갈수록 새로운 매립지를 만들기위해 숲과 산을 없애야한다. 소각장에서 태운 쓰레기는 공기중에 흩어져 우리의 몸에 흡수된다. 그러나 문제는 여기서 끝나지 않는다. 위의 사례는 본질적인 문제의 극히 일부분일 뿐이다. 인간은 지금 이 순간에도 끊임없이 무엇인가를 욕망하고,..
(독후감) [공학이 필요한 시간] (이인식 외 19명, 2019) 공학이 필요한 시간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독자를 위한 최초의 공학기술 서평집“우리 시대 공학의 중심을 읽다!”2017년 문재인 정부가 4차 산업혁명을 국정 목표로 설정한 이후, 블록체인, 사물인터넷, 인공지능, 유 www.yes24.com 나는 보통 내 인생의 지도를 그리기 위해 책을 읽는다. 그러나 종종 책을 읽어봐도 길을 찾지 못할 때가 있다. 특히 내가 익숙하지 않은 분야의 책을 읽을 때 그런 경우를 많이 겪게 된다. 그 책의 내용을 비판하고 나만의 판단을 하기 위한 배경지식이 충분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럴 때 필요한 것이 바로 "책에 대한 책"인 것 같다. 바로 이 책처럼 한 가지 분야에 대한 여러가지 책의 서평을 모아놓은 그런 책 말이다. 대부분 나보다 해당 분야의 지식이 해박한 사람들이, 해당..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