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공부/민속학

(5)
(독후감) <통과의례> 반 게넵, 을유문화사, 1995 ​ 반 겐넵이라는 학자가 제시한 통과의례의 3단계, 즉 분리, 전이, 통합은 이 후 수많은 학자들의 연구에서 차용되었다. 그만큼 '통과의례' 라는 책이 권위가 있..는 것 같다. 내 생각에 그런데 왠걸 그렇게 재미있지는 않았다. 누가 나에게 "너 이렇게 권위있는 책을 재미없다고 하다니 좀 맞자" 라며 협박하는 것도 아니니까 이런 말 해도 될 것 같다. 그러나 중요한 것은 무책임하게 재미없다는 말을 내뱉고 돌아서는 것이 아니라 왜 이 책이 나에게 재미가 없었는지, 나에게는 어떤 문제가 있는지 생각해보는 것이 중요할 것 같다.    통과의례란 간단히 말해 인간이 어떤 특정한 상태(ex. 중학생)에서 다른 상태(ex.고등학생)로 이동할 때 행하는 일련의 행사(ex.입학식이나 졸업식)를 일컫는 말이다. 그런데 ..
(독후감) <한국 마을신앙의 탄생> 박호원, 민속원, 2013 마을신앙은 한국의 민간신앙의 하위분류에 속한다. 민간종교라고 하지 않고 민간신앙이라고 하는 이유는 종교라고 부를 만큼 체계화 되어있지는 않기 때문이다. 그러나 엄연히 하나의 믿음체계로써 민간에 계승되어 오고 있기 때문에 민속학에서는 민간신앙이라는 연구주제를 통해 인간의 삶을 연구해오고 있다. 마을신앙은 마을이라는 공동체를 기반으로 하여 마을신에게 제재초복, 즉 나쁜 일이 일어나지 않게 하고 복을 기원하기 위해 지내는 주민들의 제사라고 정의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마을신앙이 근대로 오면서 미신으로 불리며 타파의 대상이 되었던 적이 있다. 물론 그것은 현재에도 일부 마찬가지이지만, 80년대 이후 자문화에 대한 새로운 인식이 일어나면서 마을신앙을 타파가 아닌 보존의 대상으로 바라보는 시각이 확산되었다. 그러..
<사회언어학: 언어와 사회, 그리고 문화> (강현석 등, 글로벌콘텐츠, 2014) 이 책은 사회언어학이란 무엇인가? 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는 책이다. 체계적으로 잘 설명이 되어있다. 하지만 물론 다 읽지는 않았다. 관심이 가는 부분이나 필요한 챕터만 읽었는데, 페이지로 따지면 반 정도 된다. (사실 사회언어학과 언어민속학은 강조하는 분야가 조금 다르다. 말그대로 전자는 언어에 강조점을 두고 후자는 민속문화에 강조점을 두고 있기 때문이다.) 이 책에 따르면, 라고 한다. 그렇구나.. 이 학문의 연구주제 중 재미있는 것이 몇개 눈에 띄었는데, 내 지적수준이 부족해서 이렇게 밖에 말을 못하겠다. 1. 시대별로 유행어를 조사해서, 유행어의 공시적변화를 통해 시대상을 읽는 연구 2. 다중언어사회 (예를 들면, 스페인어와 영어, 불어를 함께 쓰는 사회)에서 사람들이 어떤 언어를 언제 쓰는지에 대..
(독후감) [한국요괴도감] 설문대할망과 성황신이 실려 있는 요괴도감이라... https://www.dmitory.com/issue/95157550 시사/이슈/유머 - 텀블벅에서 인기 많았던 소비자 기만 근황 익명 정보 커뮤니티 사이트. 이슈, 유머, 연예, 드라마, 미용, 패션, 만화, 애니, 게임, 재테크, 직장인, 스펙업, 노벨정원, 헐리우드, 스포츠 등 www.dmitory.com 이 책은 동이귀괴물집의 후속작이다. 동이귀괴물집의 작가가 텀블벅을 통해 책을 발간했는데, 이후 출판사와 계약을 하여 책 내용을 보완하여 재발간하였다. 이 때 후원자들과의 약속을 지키지 않아 문제가 되었다는 내용의 기사가 있다. 한 편, 이 책의 구매링크는 아래와 같다. http://m.yes24.com/Goods/Detail/70921120 한국 요괴 도감 - YES24 우리나라 최초의 요괴 도감..
(독후감) [혼으로 빚어낸 전통의 격조] (문화재청, 2008) https://www.hani.co.kr/arti/culture/music/683407.html 나전칠기 문양 속에 산수화가 숨어있다 호림박물관 ‘조선의 나전’ 특별전 당대 유행그림 나전조각 떠 정교한 선으로 만드는 방식 장인 ‘원소스 멀티유즈’ 빛나 www.hani.co.kr 우연히 이 책을 구하게 되었다. 2008년에 문화재청에서 을 개최하고 전시되었던 작품들의 사진을 실어놓은 것이다. 도록이라고 보면 될 것 같다. 그나저나 왜 "무형문화재" 지정 제도가 있는 것일까? 여러가지 추측을 해볼 수 있겠다. 우리나라의 입장에서는 국가의 정체성, 혹은 민족의 정체성 같은 것을 위해 "전통" 이라는 개념을 만들어내는 것보다 좋은 방법은 없었을 것이다. 그것을 위해서는 "전통적인" 것으로 인정할 수 있을 만한 ..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