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기록

(5)
[노인주야간보호센터 사회복지사 업무일지#8] 우리 센터가 뭐하는 곳인지 어떻게 어르신에게 설명할까? *한줄요약: (지극히 개인적인 생각이지만) 나는 어르신들에게 우리 센터는 그냥 동네 사랑방 같은 곳이라고 설명하곤 한다. 노인주야간보호센터는 하루 중 일정 시간동안 돌봄이 필요한 어르신에게 일상생활지원서비스를 제공하고, 각종 인지기능, 신체기능 프로그램을 통해 어르신이 보다 건강하고 즐겁게 지내실 수 있도록 지원하는 노인장기요양기관이다. 그런데 문제는 이러한 센터의 기능을 어르신들에게 설명해드리기가 쉽지 않다는 것이다. 보호자들은 대부분 센터가 무엇을 하는 곳인지 잘 알고 있다. 노인 유치원, 줄여서 "노치원"이라고 하면 대번 이해하신다. "아~ 아침에 모시러 왔다가~ 낮동안 어르신을 돌봐주고, 밥도 주고, 저녁에는 다시 집에 모셔다 주는 곳이구나~"라고 말이다. 그러나 어르신들에게 이 곳을 "노인 유치..
[노인주야간보호센터 사회복지사 업무일지#6] 소방안전관리자 2급 취득 후기 *한줄 요약: 별다른 조건 없이, 한국소방안전원에서 진행하는 소방안전관리자 2급 강습교육을 수료한 뒤, 필기시험에만 합격하면 소방안전관리자 2급을 취득할 수 있다. 제목 그대로이다. 센터에 취직한 뒤 한 달쯤 되었을 때, 센터장님과 이야기를 나누다 소방안전관리자 2급 자격증 이야기가 나왔다. 우리 센터에는 소방안전관리자 1명과, 소방안전관리 보조자 1명이 각각 선임되어야 하는데, 다행히 선임자격을 가진 직원들이 이미 선임되어 있는 상태였다. (소방안전관리자는 소방안전관리자 2급 이상을 갖고 있어야 하고, 소방안전관리 보조자는 한국소방안전원에서 진행하는 소방안전관리자 2급 강습교육을 수료하기만 하면 된다.) 그러나, 만약 그 직원이 퇴사하거나 하면 업무 공백이 생기게 되지 않겠는가? 미리 미리 소방안전관리..
[노인주야간보호센터 사회복지사 업무일지#5] 센터 개소 기념품 제작하기 *한줄요약 : 센터 개소 기념품으로 수건, 손톱깎기, 우산, 무선 충전기, 명함 케이스 등의 후보가 거론되었으나... 소모성이 강한 '고급 포스트잇 세트'로 결정하였다. 센터 개소를 맞아, 기념품을 제작하기로 하였다. 기념품? 물론 일반 시민들이나 잠재적인 이용자들에게 배포하는 것이 아니라, 개소식에 참석하는 분들이나 센터 설립에 도움을 주신 분들, 또는 내부 직원분들께 나눠드리는 용도이다. 이왕 기념품을 만드는 거, 동네 어르신들에게 나눠드리면서 "저희 센터를 이용해주세요~"라고 하면 센터 운영에 도움이 되지 않겠는가? 그러나 노인장기요양보험법에는 이렇게 나와있다. 노인장기요양보험법 제 35조의 6항, "누구든지 영리를 목적으로 금전, 물품, 노무, 향응, 그 밖의 이익을 제공하거나 제공할 것을 약속하..
[노인주야간보호센터 사회복지사 업무일지#4] 사회복지시설 전기요금 감면(할인) 신청하기 *한줄요약: 노인복지시설(노인복지주택, 유료양로시설, 유료노인요양시설 제외)은 한전에 신청하면 요금 감면(할인)을 해준다. *한전 강원본부 블로그에서 간략하게 사회복지시설 복지할인 신청법에 대해 설명해두었다. 사회복지시설 복지할인 신청 ○ 신청 대상 - 사회복지사업법 제2조에 의한 사회복지시설 * ‘보호관찰등에관한법률’에 의한 갱생보호시... blog.naver.com *한전 홈페이지, "업무찾기" 게시판에서 "복지할인"항목을 선택하면 친절하게 관련 내용이 설명되어 있다. - 업무찾기 | KEPCO - cyber.kepco.co.kr 센터의 2월 전기요금 고지서가 날라왔다. 예상외로 많은 금액이 청구되었길래, 센터장님과 고지서를 들여다 보았다. 센터장님이 말하길, 복지시설 할인이 안된 것 같으니 한번 알..
[노인주야간보호센터 사회복지사 업무일지#3] 시설 관리 보조 업무의 양이 생각보다 많다. 우리나라 장기요양기관의 특징 중 하나는, 직원들에게 여려가지 역할이 동시에 요구되는 경우가 많다는 것이다. 예컨데, 나는 사회복지사이지만, 사회복지사의 고유업무라고 하기 힘든 부분들도 내 업무 영역에 포함되어 있다. 그 이유는 당연히(?) 인력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다른 기관 중에는 요양보호사가 송영서비스를 담당하고, 사무원이 시설 관리를 하고, 사회복지사가 청소와 조리업무에 보조로 투입되는 경우도 흔히 있다. 예산이 부족하니 각 분야별로 전문적인 직원을 따로 채용하기가 힘들기 때문이다. 아무튼, 처음에는 시설 관리 보조 업무를 담당해도 별로 할 게 없을 것이라고 에상했지만 나의 예상은 크게 빗나갔다. 간호장비와 물리치료 장비처럼, 사회복지사가 관리하는 것이 불가능한 장비를 빼더라도 센터에는 관리해야 할..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