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지식재산

(2)
<미술로 읽는 지식재산> (박병욱, 굿플러스북, 2020) 을 읽고.. 미술작품과 지식재산을 어떻게 연관지을 수 있을까? 하나의 미술작품을 놓고, 지식재산과 관련지어 어떤 이야기를 할 수 있을까? 여러 방식이 가능하겠지만, 이 책을 읽고 난 뒤 나는 크게 세가지를 생각해볼 수 있게 되었다. 1. 작가의 지식재산으로써 미술작품을 바라보는 이야기 2. 미술작품을 만드는 데 사용되는 미술도구의 발명에 대한 이야기 3. 미술작품 속에 등장한 물건들의 발명에 대한 이야기 첫번째, 미술작품이 작가의 지식재산이라는 사실에 주목한다면 그 "작가"의 범위가 어디인지에 대한 논쟁을 다룰 수 있다. "조영남 대작 사건"을 들어보았는가? 조영남씨는 그림에 대한 전체적인 아이디어만 제시하고, 실제 그림을 그리는 것은 다른 미술작가가 글주는 방식으로 여러 점의 작품을 제작했고, 실제로 판매도 했다...
<지식재산 스타트> 독후감 (송상엽, 2015, 넥서스북 (ebook)) 지식재산이 중요하다는 말을 많이 들어보았을 것이다. 지식재산이라고 하면, 나는 솔직히 저작권 정도밖에 알지 못했다. 그러나 지식재산은 산업지식재산인 특허,디자인,상표 그리고 신지식재산인 영업비밀,집적회로 배치 설계 등을 포함하는 아주 넓은 개념이다. 지식재산 입문단계인 나로서는 읽기가 아주 좋았다. 비록 e-book이 2015년 버전밖에 없어서 2015년 버전을 읽었지만 말이다. 종이책으로는 2018년 버전이 있으니, 최신판을 읽고 싶다면 종이책을 사면 된다. 이 책은 100가지의 질문을 통해 특허,실용실안,디자인,상표 등에 대해 알기쉽게 이야기한다. 질문을 굉장히 심사숙고해서 뽑아내신 것 같은데, 진짜 재미있다. 예를 들어, "세종대왕이 한글에 대해 특허권을 주장하면 어떻게 될까?" 같은 질문들이 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