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인류학 (2) 썸네일형 리스트형 (독후감) [낯선 곳에서 나를 만나다] (한국문화인류학회, 일조각, 2006) https://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2514163 낯선 곳에서 나를 만나다 낯선 곳에서 나를 만나는 문화인류학 여행다양한 문화의 현장을 살펴보는 문화인류학 입문서 개정증보판. 한국문화인류학회가 해외의 저명한 학자들의 논문과 저서 book.naver.com 내가 생각하는 나만의 이상적인 인생이란 무엇인지 생각해 보았다. 그 결과, 나는 인생의 활동범위를 크게 두가지로 나누어 생각하고 있었다. 첫번째는 의 영역이다. 그리고 두번째는 의 영역이다. 이렇게 말하고 보니 굉장히 '중2병'스럽다. 첫번째 영역에서 내가 할 수 있는 것은 그저 열심히 구직활동을 하는 것이다. 그러나 두번째 영역에서 내가 하고 싶은 것은 내 전공분야인 민속학 분야의 작가가 되는 것이.. (독후감) [피에르 부르디외] (김동일, 커뮤니케이션북스, 2016) https://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10493182 피에르 부르디외 피에르 부르디외는 ‘보이는 것’과 ‘보이지 않는 것’의 상관관계를 따진다. 여기서 ‘보이는 것’이 물질 생산(경제), 지배와 저항(정치)의 영역에 해당한다면, ‘보이지 않는 것’은 문화 book.naver.com 오랜만에 사회학 사상에 대한 책을 읽으니, 뇌에 찬바람이 부는 기분이다. 그런데, 왜 갑자기 부르디외인가? 개인적으로 나의 정체성에 대한 의구심이 들었기 때문에 이 책을 읽게 되었다. 나는 대체 뭐 하는 사람일까? 나는 이 때까지 내가 1) 민속학을 하는 사람 2) 인간답게 벌어서 인간답게 살기 위해 분투하기를 '잘' 하기 위해 애쓰는 인간이며 3) 일상에서의 감상을 잡다한 ..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