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을신앙 (1) 썸네일형 리스트형 (독후감) <한국 마을신앙의 탄생> 박호원, 민속원, 2013 마을신앙은 한국의 민간신앙의 하위분류에 속한다. 민간종교라고 하지 않고 민간신앙이라고 하는 이유는 종교라고 부를 만큼 체계화 되어있지는 않기 때문이다. 그러나 엄연히 하나의 믿음체계로써 민간에 계승되어 오고 있기 때문에 민속학에서는 민간신앙이라는 연구주제를 통해 인간의 삶을 연구해오고 있다. 마을신앙은 마을이라는 공동체를 기반으로 하여 마을신에게 제재초복, 즉 나쁜 일이 일어나지 않게 하고 복을 기원하기 위해 지내는 주민들의 제사라고 정의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마을신앙이 근대로 오면서 미신으로 불리며 타파의 대상이 되었던 적이 있다. 물론 그것은 현재에도 일부 마찬가지이지만, 80년대 이후 자문화에 대한 새로운 인식이 일어나면서 마을신앙을 타파가 아닌 보존의 대상으로 바라보는 시각이 확산되었다. 그러.. 이전 1 다음